news

중소형상장사 XBRL 주석공시 세부계획

2025-04-24
news

[출처: 금융감독원 2025.4.7]

[주요내용]

□ 회계 금융감독원은 ’25년 사업보고서 XBRL 주석 재무공시 신규 제출(‘26.3.31)

상장사의 증가( 1,800여社)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고 XBRL 재무공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연착륙 방안 등을 마련하였습니다.

 

1. 중소형 상장사(자산 5천억 미만) XBRL 주석 재무공시 연착륙 방안

󰊱(제출 방법) 모든 보고서를 XBRL 주석 상세 공시(Detailed Tagging) 적용

사업·반기보고서만 XBRL 주석 상세 공시 적용*

*5천억원 이상 상장사는 분기별( 4) XBRL 주석 상세 공시를 하여야 하나,

5천억원 미만 상장사는 XBRL 주석 상세 공시를 반기별( 2)로 완화

분기보고서는 ‘28년말 까지 XBRL 작성기로 목차만 생성하는 블록태깅*(Block Tagging)을 적용하고, ’29년부터는 XBRL 주석 상세 공시(Detailed Tagging) 적용

*現 ①일반적 사항, ②중요한 회계처리 방침, ③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등의 주석 등과 동일하게 XBRL 작성기를 통해 주석 목차를 생성하여야 함

 

󰊲(적용 시기) 자산 5천억 미만 상장사를 3개 그룹으로 세분화하여 XBRL 주석 재무공시 신규 제출 대상을 연도별로 균등하게 배분

(1그룹) 자산 2천억 이상 ~ 5천억 미만( 550여개사)

기존과 동일(’26.3.31.제출)

(2그룹)자산 1천억 이상 ~ 2천억 미만( 500여개사, 1년 유예)

→ ‘26년도 사업보고서부터 XBRL 주석 제출 의무화(’27.3.31.제출)

(3그룹)자산 1천억 미만( 750여개사, 2년 유예)

→ ‘27년도 사업보고서부터 XBRL 주석 제출 의무화(’28.3.31.제출) 

(참고) 중소형 상장사 XBRL 주석 재무공시 완화 방안 요약표(비금융업)

news

 

2. 공시·회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상장사·회계법인 지원 강화

XBRL 주석 재무공시 신규 제출 대상 상장사들이 공시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XBRL 시범 제출 운영 및 피드백 등 다양한 지원 제공

(상장사 지원) 상장사의 XBRL 재무공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XBRL 시범 제출 및 피드백, XBRL 작성 가이드 교육 등을 지속 제공

(회계법인 지원) 회계법인의 XBRL 자문 품질 제고를 위해 한국공인회계사회 등과 함께 XBRL 전문 교육을 연중 제공하는 한편, XBRL 데이터 품질점검도 강화(품질이 낮은 회계법인에 대한 지도)

XBRL 재무공시 선진화 및 안착을 위해 유관기관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상장사와 소통을 통한 제도 개선 및 지속적으로 교육 등 지원

 

I. 중소형 상장사 XBRL 주석 재무공시 연착륙 방안

◇ 금융감독원은재무공시 선진화 추진 T/F(학계, 유관기관, 협회등)’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이 연착륙 방안을 마련

*(1차 논의) 24.9.24. (2차 논의) 25.2.27.

󰊱 (제출 주기) XBRL 주석 상세 공시 제출 시기를 감사(검토)보고서 제출시기*와 일치

시키기 위해 반기별( 2)로 일시 완화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0조에 따라 5천억원 미만 상장사의 경우 분기보고서 제출시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을 생략 가능(금융기관 제외)

, 정보이용자의 수요를 감안하여 ’28년 사업보고서부터는 XBRL 주석 상세 공시를

분기별 공시로 전환*( 4)

* 미국의 경우 모든 상장법인은 분기보고서를 XBRL로 제출하여야 함

 

󰊲 (단계별 적용 방안) 자산 5천억원 미만 상장사를 3개 그룹으로 세분화하여 연도별

신규 제출 대상을 균등하게 배분

(1그룹) 자산 2천억 이상 ~ 5천억 미만( 550여개사)

기존과 동일(’26.3.31.제출)

(2그룹)자산 1천억 이상 ~ 2천억 미만( 500여개사, 1년 유예)

→ ‘26년도 사업보고서부터 XBRL 주석 제출 의무화(’27.3.31.제출)

(3그룹)자산 1천억 미만( 750여개사, 2년 유예)

→ ‘27년도 사업보고서부터 XBRL 주석 제출 의무화(’28.3.31.제출)

구 분

XBRL 주석공시 제출 시기

現 기준

부담 경감방안 적용 後

2조 이상

(161)

24 3

(23년 사업보고서)

좌 동(기시행)

5천억 이상 – 2조 미만

(337)

25 3

(24년 사업보고서)

좌 동(금년도 시행)

5천억 미만

(1,800여社)

2천억 이상 – 5천억 미만*

(550여社)

26 3

(25년 사업보고서)

26 3

(25년 사업보고서)

1천억 이상 – 2천억 미만*

(500여社)

27 3

(26년 사업보고서)

1천억 미만*

(750여社)

28 3

(27년 사업보고서)

* 5천억 미만 상장사는 XBRL 주석공시를 ’28년 말까지 반기 단위로, 이후부터는 분기 단위로 공시

※ 직전사업연도말 개별자산총액을 기준으로 해당 그룹을 판단(: 24년말 자산총액이 1천억원(2그룹)이었으나, 25년말 자산총액이 3천억원으로 변경된 경우 1그룹에 해당 → ‘26.1분기 부터 XBRL 주석(블록태깅) 공시)

 

󰊳 (작성 방법) 사업보고서 및 반기보고서는 現 XBRL 주석 작성 방식과 동일하게 주석

세부항목(·열 등) 단위로 속성값*을 부여(Detailed Tagging)

* 일부 주석(①회사의 개요, ②중요한 회계처리 방침, ③타기업에 대한 지분공시 등)

하나의 영역으로 처리하는 블록태깅 방식 유지

분기보고서는 정보이용자의 정보접근성 및 영문 공시 강화 측면에서 ‘28년말 까지

블록태깅*(Block Tagging) 적용

*XBRL 작성기를 통해 주석 목차만 생성한 후 감사보고서 등의 내용을 DART편집기 각

주석 영역에 삽입

(참고) 상장사 XBRL 주석 재무공시 2단계 확대 결과

(개요) XBRL 재무공시 단계적 선진화 방안(23.3)’에 따라 금년도부터 자산 5천억 이상 2조원 미만의 비금융업 상장사로 XBRL 주석 재무공시 의무가 확대됨

이에 따라, 자산 5천억원~2조원 미만 337社가 XBRL 주석 재무공시 대상으로 신규 편입

(제출 현황) XBRL 주석 재무공시 제출 대상 498(유가증권 394, 코스닥 104) 모두 기한(3.31.) 內 제출

금년도 XBRL 주석 신규 제출 대상 337社 중 285(84.6%)는 회계법인에 작성을 위탁하였으며, 52개社(15.4%)는 회사가 직접* 작성·제출

* 2조원 이상 상장사(161)는 ’23년도 사업보고서 6개사, 24년도 반기보고서 44개사, 24년도 사업보고서 47개사가 직접 작성·제출

XBRL 주석 자체 작성 비율(회사수) : (24) 2.5%(6개사) (25) 19.9%(99개사)

한편, 전체 498社 中 61개사(12.2%)는 ‘XBRL 재무제표 본문·주석 작성 가이드‘

미준수 또는 기재 사항 오류 등으로 정정 공시 완료*

* 사업보고서 정정비율 : (24) 27% (25) 12.2%

(평가)그간 금융감독원이 회계법인 및 제출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 결과, 상장사의

자체 작성 능력이 제고되고, 회계법인의 자문 품질이 향상되고 있음(다만, 로컬 회계

법인의 자문 품질 향상 노력 필요)

 

II. 상장사·회계법인 지원 강화 방안

◇ 그간 금감원 및 유관기관이 함께 제공하였던 지원 방안을 이어가는 한편, 회계법인에 대한 자문 품질관리 모니터링 강화

1. 상장사 지원 강화 방안(공시 유관기관과 협력)

□상장사 XBRL 재무공시 역량 제고를 위하여 XBRL 시범 제출 및 피드백, XBRL 작성 가이드 교육 등을 지속 제공

(참고) 회계법인 지원 강화

【금융감독원】

(1:1 소통채널 구축) XBRL 자문 제공 회계법인과의 1:1 소통채널 구축을 통해 유의사항 안내, 점검 결과 피드백 및 기술지원 등을 적시 제공

【회계 유관기관(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 XBRL 본부 등)

(실무지원 및 회계법인 품질 향상)회계법인 대상 XBRL 전문 교육 연중 실시 및 한국공인회계사회 헬프데스크 지원 인력 보강 등

(1:1 문의게시판 신설) XBRL 본문 및 주석 작성 관련 제출인(회계법인) 문의 및 답변을 위한 홈페이지 신규 구축(http://xbrl.or.kr/11문의)

(세미나 개최 등)회계법인 및 상장사 등의 XBRL 재무공시 이해도 제고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하여 학계 및 업계 등과 함께 XBRL 세미나 개최 등

 

III. 향후 계획

XBRL 재무공시 안착을 위한 협력 강화 및 시스템 개선(연중)

유관기관 등과 맞춤형 실무교육 제공 등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상장사 등의 의견을

적극 수렴

또한, XBRL 재무제표 작성기(IFRS)의 성능을 강화하고 이용자 편의사항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기능 개선

 

□ 금융감독원 ’전자문서제출요령’ 개정(25년 상반기)

중소형 상장사 XBRL재무공시 완화관련 변경사항 등을 반영하여 금융감독원 ‘전자

문서제출요령개정

 

XBRL 주석은 표 세부 사항까지 데이터화하는 美 SEC 방식(Detailed Tagging)

주석 목차 단위로 데이터화(Block Tagging)하는 방식으로 분류

구 분

Detailed Tagging

Block Tagging

적용 사례

미국, 일본, 한국 등

유럽

* 추후 Detailed Tagging 전환 예정

내 용

(장·단점)

주석 내용을 구성하는 숫자 및 문자 등을 각각의 의미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방식

(데이터 활용↑, 작성 편의성↓)

각 주석의 세부항목(, 문장 등)을 개별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내용 전체(주석 목차 단위)를 하나의 데이터로 기계가 인식하도록 작성

(작성 편의성↑, 데이터 활용↓)

작성 방법

금감원 XBRL 작성기를 통한 목차, 표 행·열, 내용 입력 → DART 편집기에 삽입

금감원 XBRL 작성기를 통한 목차 생성 → DART편집기 해당 영역에 내용 입력

news



참고 2 : XBRL 주석 재무 데이터 활용(예시)

◇ 투자의사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석이 기존 비정형데이터(문장 또는 HTML

형식 표)에서 정형화된 XBRL 데이터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정보이용자가 데이터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활용 가능

XBRL 데이터 활용 방법 : opendart.fss.or.kr-공시정보 활용마당-재무정보

다운로드

(시장성 차입현황 분석) 자금조달로 사용되는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시장성 차입 발행일·만기일·청구권 내역 등의 데이터를 조회하여, 조기상환에

따른 영향도 등을 분석 가능

시장성 차입현황 XBRL 데이터화 예시

이전(HTML 형식 문장,)

XBRL 데이터(XBRL 뷰어 화면)

news

 

 

 

 

 

news

 

(리스 부채 분석) 대규모 자산 취득에 따른 리스료 지급 스케줄 데이터 등을 조회

하여 향후 기업의 수익성 및 자본 건전성 등을 분석 가능

리스부채 XBRL 데이터화 예시

이전(HTML 형식 문장,)

XBRL 데이터(XBRL 뷰어 화면)

news

news

 

(우발부채 현황 분석) 소송사건, 담보제공, 과세관청의 조세 부과 등 우발부채

데이터를 조회하여 총자산, 자본금 등에 미칠 영향도를 분석 가능

* 우발부채 사항은 주로 서술형으로 공시되고 있었으나, 데이터化를 통해 기업간 비교

분석 용이

우발부채 XBRL 데이터화 예시

이전(HTML 형식 문장,)

XBRL 데이터(XBRL 뷰어 화면)

news

news

 

(부문별 영업 현황 분석) 지역별, 영업부분별 매출액 등에 대한 데이터를 조회하여

지리적, 상품별 매출액 추이 등을 분석 가능

영업부문 XBRL 데이터화 예시

이전(HTML 형식 문장,)

XBRL 데이터(XBRL 뷰어 화면)

news

news